Meritor는 제가 만든 조어입니다. 제 이름 재훈(載勳)
에서 영감을 받았어요.
- 載 (재): 실을 재, 쌓다/담다
- 勳 (훈): 공 훈, 공로/공적
즉, 공을 쌓는 사람이라는 뜻을 영어로 표현한 것이 Meritor (Merit + -or)입니다.
작은 성과들을 하나씩 쌓아가며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내는 제 엔지니어링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.
잘 부탁드립니다!
Meritor는 제가 만든 조어입니다. 제 이름 재훈(載勳)
에서 영감을 받았어요.
즉, 공을 쌓는 사람이라는 뜻을 영어로 표현한 것이 Meritor (Merit + -or)입니다.
작은 성과들을 하나씩 쌓아가며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내는 제 엔지니어링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.
잘 부탁드립니다!
회사 기술 블로그에 글을 기고했습니다.
DevOps 파트 차원에서 힘을 모아 월간 25,000불, 연간 30만 불을 절약할 수 있었던 노하우가 담겨 있습니다.
회사 기술 블로그에 <CI 소요시간을 최대 4.6배 개선하는 방법> 이라는 제목의 글을 작성했습니다.
CI 실행 속도를 최대 4.6배까지 개선하고, 의존성 설치는 최대 33.8배, 마지막으로 빌드 및 테스트는 최대 67배까지 개선한 케이스입니다. 동료분들께서 pnpm과 turborepo 도입을 이끌어주셔서, 저는 remote caching 도입으로 화답했습니다.
수치가 조금 과장된 것 같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. 빌드 캐싱과 의존성 캐싱을 중심으로 진행하다보니 그렇습니다.
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너그럽게, 그리고 재밌게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:)
인프콘 2023에서 Go-성능 선착순 예매 시스템 구현: 레거시 코드에 Go 를 더해 고성능 선착순 예매 시스템을 4일 만에 구축하기 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. 연습 많이 했는데 발표 당일에 많이 긴장해서 말이 대체로 빠른 편입니다…!
발표를 준비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신 인프랩 팀원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
지금까지 잘 해온 것처럼, 앞으로도 더 잘 하겠습니다.